골프노마드

[노마드 야구] ‘Rundown’을 왜 ‘협살(挾殺)’이라고 말할까? 본문

노마드 #스포츠

[노마드 야구] ‘Rundown’을 왜 ‘협살(挾殺)’이라고 말할까?

골마드 2021. 9. 24. 00:53
728x90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해보면 ‘협살’이라는 단어가 단 한 번 나온다. 그 한자어는 ‘挾殺’이 아닌 ‘脅殺’이다. 성종 실록 140권, 성종 13년(1482년) 4월 26일 甲子 2번째기사에서 등장한 ‘脅殺’이라는 말은 겨드랑이를 찔러 죽이는 의미였다. ‘挾殺’과는 의미가 전혀 다른 말이다. 협살이라는 말의 어원이 일본에서 유래한 것으로 봐야하는 이유이다.

1868년 메이지 유신을 성공시킨 일본 개혁파 지식인들은 미국의 야구를 받아들이며 야구의 일본화에 많은 힘을 기울였다. 일본 현대문학의 낭만주의 작가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등은 ‘서양의 괴물’ 베이스볼을 일본화한 단어로 만들었다. 

 

문화적인 낭만을 담고 있으면서 운동의 성격을 잘 나타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한문으로 ‘들’을 의미하는 ‘야 (野)’와 공을 표현하는 ‘구(球)’를 합성해 ‘들에서 공을 갖고 하는 종목’이라는 뜻인 야구를 비롯해 유격수 등 많은 용어를 일본식 한자어로 만들었다. 

 

(본 코너 3회 ‘ ’야구(野球)‘는 낭만적인 문학적 표현이다’ 참조) 일부 일본 지식인들은 야구를 놀이 스포츠로 보다는 밀려드는 서양의 외세문화로 인식하기도 했다. 미국 페리제독에 의해 강제 개국한 일본은 야구 용어도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을 가정해 번역했다. 죽일 살자가 용어로 등장한 이유이기도 하다.

 

야구에서 협살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여러 가지가 있다. 주자가 진루 상황에서 욕심을 내어 너무 멀리 달렸다가 공이 베이스에 생각보다 일찍 도착한 경우, 타자가 공을 치는 것을 보고 2루 혹은 3루 주자가 베이스를 떠났으나 타구가 땅볼이 되어 베이스에 일찍 송구된 경우, 주자가 도루를 하기 위해 다음 베이스를 향해 달렸으나 타이밍이 빨라 투수가 이를 눈치채고 홈 대신 베이스로 공을 던진 경우 등이다. 

 

협살 상황에서 주자는 대개 아웃당하기 마련이지만 야수들이 미숙하거나 주자의 주루 센스가 뛰어나 살아남는 경우도 간혹 발생한다. 또, 3루 주자가 홈으로 쇄도할 기회를 만들기 위해 1루 주자가 의도적으로 협살에 걸리는 작전도 있다.

지난 8월30일 김광현의 소속팀인 미국 메이저리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베터랑 포수 야디에르 몰리나가 3루에서 홈으로 뛰어들지 않고 두 손을 들고 있다고 협살당한 해괴한 일이 벌어졌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의 홈경기에서 연장 12회말 타자 카펜터는 1루 땅볼을 치고 아웃됐는데, 3루 주자 몰리나는 주루 플레이 도중 그대로 멈춰 두 손을 들었다. 

 

파울이라는 의미였다. 1루심이 아웃판정을 내린 뒤에도 몰리나는 3루와 홈 사이에서 두 손을 든 채 서 있었다.경기는 중단되지 않았고, 몰리나는 협살에 걸려 아웃됐다. 경기는 그대로 끝났다.몰리나는 2004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뒤 9차례나 올스타에 선발된 리그 최고의 포수지만, 이날 경기에선 이해하기 힘든 플레이로 비난의 대상이 됐다.

협살은 공격 팀에게는 치명적인 불이익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수비 팀에는 산타크로스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황에 따라 극과 극으로 갈리는게 협살이다. 마치 양면성을 갖는 삶처럼 말이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tv.kakao.com/v/418466851

 

728x90
Comments